테스트 주도 개발(TDD)이란 무엇인가? –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설명 (2025년 최신판)

테스트 주도 개발(TDD)이란 무엇인가? “TDD가 뭐예요?” 개발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용어지만, 막상 설명하려면 막막해지는 것이 바로 TDD입니다. 2025년 현재, 개발자 구직 공고에도 “TDD 경험자 우대”라는 문구가 자주 등장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TDD(Test-Driven Development) 가 무엇인지, 왜 중요한지, 어떻게 하는지를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보겠습니다. 1. TDD란 무엇인가? TDD의 풀네임은 Test-Driven Development , 즉 테스트 주도 개발 입니다. 쉽게 말해 TDD는: “먼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, 그 테스트를 통과하는 코드를 짜는 개발 방식” 코드를 다 짠 뒤 테스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, 테스트부터 만든다 는 것이 핵심입니다. 2. TDD의 기본 사이클 – Red, Green, Refactor TDD는 Red → Green → Refactor 라는 세 단계를 반복합니다. 2-1. Red – 실패하는 테스트 작성 먼저 원하는 기능을 검증할 테스트를 작성합니다. 당연히 코드를 아직 안 썼으니 테스트는 실패(Red)합니다. 예) // 기대하는 결과 작성 expect(sum(2, 3)).toBe(5); 2-2. Green – 테스트 통과시키기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최소한의 코드를 작성합니다. 예) function sum(a, b) { return a + b; } 테스트가 통과하면 상태는 Green이 됩니다. 2-3. Refactor – 코드 정리 테스트가 통과했다면, 이제 코드의 중복을 없애거나 가독성을 높입니다. 테스트가 계속 통과하는지 확인하며 안전하게 리팩토링할 수 있는 것이 TDD의 장점입니다. 3. T...

API란 무엇인가? –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설명 (2025년 최신판)

API란 무엇인가?

“API가 뭐예요?” 개발을 배우는 누구나 처음 던지는 질문입니다.

2025년 현재, 개발자뿐 아니라 마케터, 디자이너, 기획자까지도 API라는 단어를 자주 쓰고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API의 개념과 역할, 그리고 일상에서의 예시를 쉽게 풀어 설명하겠습니다.

1. API란 무엇인가?

API의 뜻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입니다.

하지만 풀네임은 너무 어렵죠?

쉽게 말해, API는 “프로그램끼리 대화하는 규칙”입니다.

즉:

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에게 “이거 좀 해줘!”라고 부탁할 때 쓰는 통로

2. API를 이해하기 위한 비유

API를 가장 많이 설명할 때 쓰는 비유가 레스토랑 웨이터입니다.

예)

손님 → 웨이터에게 주문 → 주방에서 요리 → 웨이터가 음식을 가져옴

여기서:

  • 손님 = 사용자가 쓰는 프로그램
  • 웨이터 = API
  • 주방 = 다른 시스템이나 서버

즉, API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못하는 두 시스템 사이에서 다리를 놓아주는 역할을 합니다.

3. API가 왜 필요한가?

만약 API가 없다면 프로그램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소통해야 합니다.

문제점:

  • 연동이 매우 복잡해짐
  • 각자 시스템마다 규칙이 다름
  • 수정할 때마다 다른 프로그램도 함께 바꿔야 함

API가 있으면?

  • 프로그램끼리 쉽게 연결
  • 규칙만 지키면 누구나 사용 가능
  • 업데이트할 때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 최소화

그래서 현대 소프트웨어는 거의 모두 API 중심으로 설계됩니다.

4. 일상에서의 API 예시

API는 일상에서도 엄청 자주 쓰입니다.

예)

  • 카카오톡 로그인 → 카카오 API 호출
  • 날씨 앱 → 기상청 API 사용
  • 구글 지도 → 구글 Maps API 사용
  • 쇼핑몰 결제 → 카드사 결제 API

앱이나 웹에서 다른 서비스 기능을 가져올 때 거의 100% API가 사용됩니다.

5. API의 종류

API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.

5-1. 오픈 API (Public API)

누구나 쓸 수 있는 공개 API입니다.

예)

  • 네이버 검색 API
  • 공공 데이터 API
  • 트위터 API

보통 회원가입하고 API Key를 발급받아 사용합니다.

5-2. 프라이빗 API (Private API)

회사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API입니다.

예)

자사 앱끼리만 사용하는 결제 API

5-3. 파트너 API (Partner API)

제휴를 맺은 특정 업체만 사용하는 API입니다.

예)

카드사와 제휴한 쇼핑몰의 할인 API

6. REST API란?

요즘 가장 많이 쓰는 API 방식은 REST API입니다.

특징:

  • HTTP 프로토콜 사용
  • 주소(URL)로 자원 지정
  • GET, POST, PUT, DELETE로 작업 구분

예)

GET /users → 사용자 목록 가져오기
POST /users → 사용자 등록하기

쉽고 규칙이 명확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협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.

7. API를 사용하는 법

API는 주소(URL)요청 방식만 알면 누구나 쓸 수 있습니다.

가장 많이 쓰는 툴:

  • Postman
  • cURL
  •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

예) Postman으로 호출


  GET https://api.weather.com/v1/current?city=Seoul&apikey=YOUR_API_KEY
  

8. API Key란 무엇인가?

API를 쓰려면 대부분 API Key가 필요합니다.

API Key는 일종의:

“이 사용자가 내 API를 쓰도록 허락받은 사람인지 구별해주는 열쇠”

무분별한 사용을 막고 트래픽을 관리하기 위함입니다.

9. API 문서 보는 법

API마다 공식 문서가 있습니다.

문서에 적힌 내용:

  • API URL
  • 요청 방식 (GET, POST 등)
  • 필수 파라미터
  • 응답 예제 (JSON 형태)
  • 오류 코드

문서를 잘 보는 것이 API 활용의 핵심입니다.

10. API 학습 팁

초보자에게 추천하는 학습법:

  • 공공 데이터 API부터 시작
  • Postman으로 연습
  • 간단한 앱으로 활용해보기

실제로 데이터를 받아 화면에 뿌려보면 API가 얼마나 재미있고 유용한지 느낄 수 있습니다.

결론: API는 소프트웨어의 언어

API는 이제 소프트웨어 세계의 공통 언어가 되었습니다.

비전공자라도 API를 이해하면:

  • ✅ 개발자와 소통이 쉬워지고
  • ✅ 협업이 수월해지며
  • ✅ 자신의 업무 범위가 넓어집니다.

지금부터라도 하나의 API를 찾아 직접 호출해보세요. 그게 디지털 세상과 연결되는 시작입니다.

이 콘텐츠는 2025년 5월 기준, 최신 IT 트렌드와 개발 현장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2025년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 TOP 7 비교 분석

국내외 투자 초보를 위한 ETF 입문 가이드 (2025년 최신 기준)

스몰 비즈니스를 위한 노코드 웹사이트 구축 팁 (2025년 완전 가이드)